이전 공부자료
https://codespecialist.tistory.com/57
2025 정보처리기사 필기 도전기 1 - 소프트웨어 설계
안녕하세요. 이번에 새로운 자격증을 취득하려고 하는데 그것은 바로 정보처리기사입니다!!오늘부터 도전해서 2차에 시험을 보려고 하는데요! 준비하시는 분들은 아래 요약본을 보고 같이 공부
codespecialist.tistory.com
2025 정보처리기사 필기 도전기 2 - 소프트웨어 설계
2025 정보처리기사 필기 도전기 2 - 소프트웨어 설계
1차 공부 자료https://codespecialist.tistory.com/57 2025 정보처리기사 필기 도전기 1 - 소프트웨어 설계안녕하세요. 이번에 새로운 자격증을 취득하려고 하는데 그것은 바로 정보처리기사입니다!!오늘부
codespecialist.tistory.com
2025 정보처리기사 필기 도전기3 - 현행시스템 파악 절차
2025 정보처리기사 필기 도전기3 - 현행시스템 파악 절차
이전 공부자료 https://codespecialist.tistory.com/57 2025 정보처리기사 필기 도전기 1 - 소프트웨어 설계안녕하세요. 이번에 새로운 자격증을 취득하려고 하는데 그것은 바로 정보처리기사입니다!!오늘
codespecialist.tistory.com
2025 정보처리기사 필기 도전기 4 - 개발기술환경파악
2025 정보처리기사 필기 도전기 4 - 개발기술환경파악
이전 공부자료https://codespecialist.tistory.com/57 2025 정보처리기사 필기 도전기 1 - 소프트웨어 설계안녕하세요. 이번에 새로운 자격증을 취득하려고 하는데 그것은 바로 정보처리기사입니다!!오늘부
codespecialist.tistory.com
■ 요구사항 분석의 개요
소프트웨어 개발의 실제적인 첫 단계로 개발 대상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이해하고 문서화(명세화)하는 활동을 의미함
1. 사용자가 요구의 타당성을 조사하고 비용과 일정에 대한 제약을 설정함.
2. 사용자의 요구를 정확하게 추출하여 목표를 정하고 어떤 방식으로 해결할 것인지를 결정함.
3. 요구사항 분석을 통한 결과는 소프트웨어 설계 단계에서 필요한 기본적인 자료가 되므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정확하고 일관성 있게 분석하여 문서화 해야함.
4. 소프트웨어 분석가에 의해 요구사항 분석이 수행되며, 이 작업 단계를 요구사항 분석 단계라고 함.
■ 구조적 분석기법
자료의 흐름과 처리를 중심으로 하는 요구사항 분석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음.
1. 도형 중심의 분석용 도구와 분석절차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문서화함.
2. 도형 중심의 도구를 사용하므로 분석가와 사용자 간의 대화가 용이함.
3. 하향식 방법을 사용하여 시스템을 세분화할 수 있고, 분석의 중복을 배제할 수 있음.
4.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논리적으로 표현하여 전체 시스템을 일관성있게 이해할 수 있음.
5. 시스템 분석의 질이 향상되고, 시스템 개발의 모든 단계에서 필요한 명세서 작성이 가능함.
6. 구조적 분석 기법에서는 자료 흐름도(DFD), 자료사전(DD), 소단위 명세서(Mini-Spce), 개체 관계도(ERD), 상태전이도(STD), 제어 명세서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모델링함.
자료흐름도(DFD - Data Flow Diagram)
요구사항 분석에서 자료의 흐름 및 변환 과정과 기능을 도형 중심으로 기술하는 방법으로 자료흐름 그래프,버블차트라고 함.
1. 시스템안의 프로세스와 자료 저장소 사이에 자료의 흐름을 나타내는 그래프로 자료 흐름과 처리를 중심으로 하는 구조적 분석 기법에 이용됨.
2. 자료 흐름도는 자료 흐름과 기능을 자세히 표현하기 위해 단계적으로 세분화 됨.
3. 자료는 처리(Process)를 거쳐 변환될 때마다 새로운 이름이 부여되며 처리는 입력자료가 발생하면 기능을 수행한 후 출력 자료로 산출함.
4. 자료 흐름도에서는 자료의 흐름과 기능을 프로세스(Process), 자료 흐름(Flow), 자료 저장소(Data Store), 단말(Terminator)의 네가지 기본 기호로 표시함.
※ 시험에 자주 나옴
기호 | 의미 | 표기법 | |
Yourdon / Demacro | Gane / Sarson | ||
프로세스 (Process) |
자료를 변환시키는 시스템의 한 부분(처리과정)을 나타내며 처리,기능, 변환, 버블이라고도 함 원이나 둥근 사각형으로 표시하고 그 안에 프로세스 이름을 기입함. |
![]() |
![]() |
자료흐름 (Data Flow) |
자료의 이동(흐름)이나 연관관계를 나타냄 화살표 위에 자료의 이름을 기입함 |
![]() |
|
자료 저장소 (Data Store) |
시스템에서의 자료 저장소(파일,데이터베이스)를 나타냄 도형 안에 자료 저장소 이름을 기입함 |
![]() |
![]() |
단말 (Terminator) |
시스템과 교신하는 위부 개체로, 입력 데이터가 만들어지고 출력 데이터를 받는다.(정보의 생산자와 소비자) 도형안에 이름을 기입함 |
![]() |
![]() |
자료사전(DD-Data Dictionary)
자료 흐름도에 있는 자료를 더 자세히 정의하고 기록한 것이며, 이처럼 데이터를 설명하는 데이터를 데이터의 데이터 또는 메타데이터(Meta data)라고함.
1. 자료 흐름도에 시각적으로 표시된 자료에 대한 정보를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모아 개발자나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음.
2. 자료사전에서 사용되는 표기 기호는 다음과 같음.
기호 | 의미 |
= | 자료의 정의 : ~로 구성되어 있다.(is composed of) |
+ | 자료의 연결 : 그리고(and) |
( ) | 자료의 생략 : 생략 가능한 자료(Optional) |
( l ) | 자료의 선택 : 또는(or) |
{ } | 자료의 반복 : Iteration of { }n :n번 이상 반복 { }n (n 위에 씀) : 최대 n번 반복 { }nm : m이상 n이하로 반복 |
* * | 자료의 설명 : 주석(Comment) |
■ 요구사항 분석을 위한 CASE(자동화 도구)
요구사항 분석을 위한 자동화 도구는 요구사항을 자동으로 분석하고, 요구사항 분석 명세서를 기술하도록 개발된 도구를 의미함.
요구사항 분석을 위한 자동화 도구 사용의 이점은 다음과 같다.
- 표준화와 보고를 통한 문서화 품질 개선
- 데이터베이스가 모두에게 이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분석자들 간의 적절한 조정
- 변경이 주는 영향 추적의 용이성
- 명세에 대한 유지보수 비용의 축소
종류
요구사항 분석을 위한 자동화 도구에는 SADT,SREM,PSL/PSA,TAGS,EPOS등이 있음
SADT
1. softTech 사에서 개발한 것으로 시스템 정의,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분석, 시스템/소프트웨어 설계를 위해 널리 이용되어 온 구조적 분석 및 설계 도구임
2, 구조적 요구분석을 하기 위해 블록 다이어글램을 채택한 자동화 도구임
SREM(RSL/REVS)
TRW사가 우주 국방 시스템그룹에 의해 실시간 처리 소프트웨어 시스템에서 요구사항을 명확히 기술하도록 할 목적으로 개발한 것으로, RSL과 REVS를 사용하는 자동화 도구임
RSL(Requirement Statement Language) : 요소, 속성 관계, 구조들을 기술하는 요구사항 기술 언어
요소 | 요구사항 명세를 개발하기 위해 사용되는 개체와 개념 |
속성 | 요소를 수정하거나 수식하기 위한 것 |
관계 | 개체들 간의 관계 |
구조 | 정보 흐름을 묘사하기 위한 것 |
REVS(Requirement Engineering and Validation System) : RSL로 기술된 요구사항들을 자동으로 분석하여 요구사항 분석 명세서를 출력하는 요구사항 분석기
PSL/PSA
- 미 시간 대학에서 개발한 것으로 PSL과 PSA를 사용하는 자동화 도구
PSL(Problem Statement Language) : 문제(요구사항) 기술 언어
PSA(Problem Statement Analyzer) : PSL로 기술한 요구사항을 자동으로 분석하여 다양한 보고서를 출력하는 문제 분석기
TAGS
1. 시스템 공학 방법 응용에 대한 자동 접근 방법으로 개발 주기의 전 과정에 이용할 수 있는 통합 자동화 도구
2. 구성 : IORL,요구사항 분석과 IORL 처리를 위한 도구, 기초적인 TAGS방법론
IORL : 요구사항 명세 언어
HIPO
1. 시스템의 분석 및 설계나 문서화할 때 사용되는 기법으로, 시스템 실행과정인 입력,처리,출력의 기능을 나타냄
2. 기본 시스템 모델은 입력, 처리, 출력으로 구성되며, 하향식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문서화 도구
3. 체계적인 문서관리가 가능함.
4. 기호,도표 등을 사용하므로 보기 쉽고 이해하기도 쉽다.
5. 기능과 자료의 의존 관계를 동시에 표현할 수 있음
6. 변경,유지보수가 용이함
7. 시스템의 기능을 여러 개의 고유 모듈들로 분할하여 이들 간의 인터페이스를 계층 구조로 표현한 것을 HIPO Chart라고 함.
HIPO Chart의 종류
HIPO Chart의 종류에는 가시적 도표(Visual Table of Contents), 총체적 도표(Overview Diagram), 세부적 도표(Detail Diagram)가 있음
가시적도표(도식 목차) : 시스템의 전체적인 기능과 흐름을 보여지는 계층(Tree) 구조도
총체적 도표(총괄도표, 개요도표) :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기능을 기술한 것으로 입력,처리,출력에 대한 전반적인 정볼르 제공하는 도표
세부적 도펴(tkdtpehvy) : 총체적 도표에 표시된 기능을 구성하는 기본 요소들을 상세히 기술하는 도표
'자격증(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정보처리기사 필기 도전기 7 - 유스케이스다이어그램 (1) | 2025.04.16 |
---|---|
2025 정보처리기사 필기 도전기 6 - UML개요 (1) | 2025.04.14 |
2025 정보처리기사 필기 도전기 4 - 개발기술환경파악 (2) | 2025.04.08 |
2025 정보처리기사 필기 도전기3 - 현행시스템 파악 절차 (2) | 2025.04.07 |
2025 정보처리기사 필기 도전기 2 - 소프트웨어 설계 (5) | 2025.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