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키텍처 패턴의 개요
아키텍처를 설계할 때 참조할 수 있는 전형적인 해결 방식 또는 예제를 의미함.
1. 아키텍처 패턴은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구조를 구성하기 위한 기본적인 윤곽을 제시함.
2. 아키텍처 패턴에는 서브시스템들과 그 역할이 정의되어 있으며, 서브시스템 사이의 관계와 여러 규칙 지침 등이 포함되어 있음.
3, 아키텍처 패턴을 아키텍처 스타일 또는 표준 아키텍처라고도 함.
아키텍처 패턴의 장점
시행착오를 줄여 개발 시간을 단축시키고, 고품질의 소프트웨어를 생산할 수 있음.
검증된 구조로 개발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개발이 가능함.
이해관계자들이 공통된 아키텍처를 공유할 수 있어 의사소통이 간편해짐
시스템의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쉬어 개발에 참여하지 않은 사람도 손쉽게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음
시스템의 특성을 개발 전에 예측하는 것이 가능해짐.
아키텍처 패턴의 종류에는 레이어 패턴, 클라이언트-서버 패턴, 파이프-필터 패턴, 모델-뷰-컨트롤러 패턴 등이 있음
레이어패턴
시스템을 계층으로 구분하여 구성하는 고전적인 방법 중의 하나임
레이어패턴은 각각의 서브시스템들이 계층 구조를 이루며, 하위 계층은 상위 계층에 대한 서비스 제공자가 되고, 상위계층은 하위 계층의 클라이언트가 됨
레이어패턴은 서로 마주 보는 두 개의 계층 사이에서만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며 변경 사항을 적용할 때도 서로 마주 보는 두 개의 계층에만 영향을 미치므로 변경 작업이 용이함
레이어 패턴은 특정 계층만을 교체해 시스템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함.
대표적으로 OSI참조모델이 있음
클라이언트-서버패턴
하나의 서버 컴포넌트와 다수의 클라이언트 컴포넌트로 구성된 패턴
클라이언트- 서버 패턴에서 사용자는 클라이언트와만 의사소통을 함. 즉 사용자가 클라이언트를 통해 서버에 요청하고 클라이언트가 응답을 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함.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비해 항상 대기 상태를 유지해야 함.
클라이언트나 서버는 요청과 응답을 받기 위해 동기화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서로 독립적이다.
파이프필터패턴
데이터 스트림 절차의 각 단계를 필터 컴포넌트로 캡슐화하여 파이프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패턴
1. 필터 컴포넌트는 재사용성이 좋고, 추가가 쉬워 확장이 용이함
2. 필터 컴포넌트들을 재배치하여 다양한 파이프라인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함.
3. 파이프-필터 패턴은 데이터변환, 버퍼링, 동기화 등에 주로 사용됨
4. 필터 간 데이터 이동 시 데이터 변환으로 인한 오버헤드가 발생함.
5. 대표적으로는 UNIX의 쉘이 있음
모델-뷰-컨트롤러 패턴
서브시스템을 3개의 부분으로 구조화하는 패턴이며, 각 부분의 역할은 다음과 같음
- 모델 : 서브시스템의 핵심 기능과 데이터를 보관함
- 뷰 :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함
- 컨트롤러 : 사용자로부터 받은 입력을 처리함
모델-뷰-컨트롤러 패턴의 각 부분은 별도의 컴포넌트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서로 영향을 받지 않고 개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
모델-뷰-컨트롤러 패턴에서는 여러 개의 뷰를 만들 수 있으므로 한 개의 모델에 대해 여러 개의 뷰를 필요로 하는 대화형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함
기타 패턴
마스터-슬레이브패턴 | 마스터 컴포넌트는 동일한 구조의 슬레이브 컴포넌트로 작업을 분할한 후, 슬레이브 컴포넌트에서 처리된 결과물을 다시 돌려받는 방식으로 작업을 수행하는 패턴임 마스터 컴포넌트는 모든 작업의 주체이고, 슬레이브 컴포넌트는 마스터 컴포넌트의 지시에 따라 작업을 수행하여 결과를 반환함 장애 허용 시스템과 병렬 컴퓨팅 시스템에서 주로 활용됨 |
브로커 패턴 |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와 특성을 브로커 컴포넌트에 요청하면 브로커 컴포넌트가 요청에 맞는 컴포넌트와 사용자를 연결해줌 원격 서비스 호출에 응답하는 컴포넌트들이 여러 개 있을 때 적합한 패턴임 분산 환경 시스템에서 주로 활용됨 |
피어-투-피어 패턴 | 피어(peer)를 하나의 컴포넌트로 간주하며, 각 피어는 서비스를 호출하는 클라이언트가 될 수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가 될 수도 있는 패턴 피어-투-피어 패턴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전형적인 멀티스레딩 방식을 사용함 |
이벤트-버스 패턴 | 소스가 특정 채널에 이벤트 메시지를 발행하면, 해당 채널을 구독한 리스너들이 메시지를 받아 이벤트를 처리하는 방식 4가지 주요 컴포넌트 1. 이벤트를 생성하는 소스 2. 이벤트를 수행하는 리스너 3. 이벤트의 통로인 채널 4. 채널들을 관리하는 버스 |
블랙보드 패턴 | 모든 컴포넌트들이 공유 데이터 저장소와 블랙보드 컴포넌트에 접근이 가능한 형태로, 컴포넌트들은 검색을 통해 블랙보드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찾을 수 있음. 1. 해결책이 명확하지 않은 문제를 처리하는데 유용한 패턴 2. 음성인식, 차량식별, 신호해석 등에 주로 활용됨 |
인터프리터 패턴 | 프로그램 코드의 각 라인을 수행하는 방법을 지정하고, 기호마다 클래스를 갖도록 구성됨 특정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 코드를 해석하는 컴포넌트를 설계할 때 사용되어지낟. |
'자격증(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정보처리기사 필기 도전기 14 - 객체지향 분석 (1) | 2025.04.28 |
---|---|
2025 정보처리기사 필기 도전기 13 - 객체지향 (3) | 2025.04.25 |
2025 정보처리기사 필기 도전기 11 - 소프트웨어와 아키텍처의 설계 (1) | 2025.04.21 |
2025 정보처리기사 필기 도전기 10 - UI시나리오 문서 개요 (1) | 2025.04.21 |
2025 정보처리기사 필기 도전기 9 - UI설계도구 (2) | 2025.04.18 |